백중, 우란분절의 의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영평사 작성일18-08-02 16:49 조회5,205회 댓글0건본문
백중, 우란분절의 의미
광원환성
나무아미타불!
음력 7월 15일은 백중절(百中節), 중원일(中元日), 백종일(百種日), 백종일(白踵日), 망혼일(亡魂日), 머슴 날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려지고, 그리고 불교에서는 우란분절(盂蘭盆節)이라 하여 우리 조상님들께 효도하는 소중한 민족 명절로 내려오고 있습니다.
먼저 이렇게 많은 이름이 붙여진 연유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백중(百中)이란 음력 7월 15일이 24절기의 중심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중원(中元)이란 도가(道家)에서 나오는 말로 도교(道敎)에서는 천상의 선관(仙官)이 일 년에 세 번 인간의 선악을 살핀다고 하는데 그 때를 원(元)이라하는데
1월 15일이 상원(上元), 7월 15일이 중원(中元), 10월 15일이 하원(下元)으로 이를 삼원(三元)이라 해서 초제(醮祭)를 지내는 세시풍속이 있습니다.
백종(百種)이란 이 무렵이 과일과 채소가 많이 나오는 때이므로 백 가지 씨앗을 마련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며, 백 가지 햇곡식을 조상의 사당에 올리는 날이라는 의미, 그 외에도 불가에서는 우란분회(盂蘭盆會)를 행할 때 백 가지 곡식과 과일을 공양 올린다는 의미에서 이런 이름이 생겼다고 합니다.
음(音)은 같으나 한자로 백종(白踵)이라 쓰는 경우는 이때가 농사일이 거의 끝나는 시기이므로 그동안 농사일을 하느라 더러워진 발뒤꿈치(踵)가 모처럼 하얗게(白)된다는 뜻에서 그렇게 불렸다고 합니다.
망혼일(亡魂日)이란 이 날 밤에 술과 안주, 밥, 떡, 과일 등을 차려놓고 돌아가신 부모, 조상님의 혼을 불러들여 재를 지낸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머슴 날이란 7월이 되면 논밭일이 거의 끝나고 한가하여 머슴들을 치하하고 위로하는 의미로 지주(地主)들이 마련해준 술과 음식으로 한바탕 흥겹게 즐길 수 있는 날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무엇보다도 불가에서는 우란분절(盂蘭盆節)이라 하여 석가모니 부처님의 불탄절, 출가절, 성도절, 열반절과 함께 불교의 5대 명절로 꼽히고 있을 만큼 중요한 날이기도 합니다.
이 날이 불교의 큰 명절로 자리 잡은 것은 부처님 10대 제자 중 한 사람인 목련존자가 자신의 어머니를 무간아비지옥(無間阿鼻地獄)에서 구하기 위해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 스님들의 하안거가 끝나는 음력 7월 15일, 자자일(自姿日)에 여러 스님들에게 공양했다는『우란분경』의 이야기에 기인합니다.
목련존자는 출가하기 전 대단한 부호의 외아들이었습니다.
그러나 갑자기 아버지 ‘상전장자’가 돌아가셔서 많은 유산을 받게 되었습니다.
목련은 유산을 3등분하여 일부는 어머니 청제부인의 생활비로 드리고, 일부는 돌아가신 아버님의 망령을 위해 3년간 매일 재를 지내 천도하도록 어머님께 부탁을 하고, 나머지는 목련 자신이 가지고 타국으로 장사를 하러 떠났습니다.
떠날 때, 목련은 어머님께 아버님의 천도재를 당부하였지만 3년 만에 돌아와 보니 어머니는 천도재는 지내지 않고 살생과 음주 등으로 방탕한 생활을 하고 있었습니다.
후에 목련이 출가한 뒤, 육신통을 얻어 혜안(慧眼)으로 돌아가신 어머니의 모습을 찾아보니 안타깝게도 어머니가 생전의 악업으로 무간아비지옥(無間阿鼻地獄)에 떨어져 잠시도 멈춤이 없는 극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목련이 가슴 아파하며 신통력을 발휘하여 어머니를 무간아비지옥에서 구해내고자 음식을 가져가 어머니께 올렸으나 그 음식은 어머니의 입에 들어가기도 전에 뜨거운 불길로 변해 버렸습니다.
어머니는 생전에 지은 죄업이 너무 두터워 아라한이 된 목련존자도 어떻게 손을 써 볼 도리가 없었던 것입니다.
이에 목련은 석가모니 부처님께 간청하며 어머니의 지옥고통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여쭈었습니다.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습니다.
“너의 어머니는 죄의 뿌리가 깊어 너 혼자의 힘으로는 구제할 수 없구나.
음력 7월 15일 하안거가 끝나는 자자(自姿)일에 각처의 수행도량에 많은 스님들이 모였을 때 지극한 정성으로 공양을 올리면 불보살과 여러 스님들의 위신력으로 어머님께서는 해탈할 수 있을 것이다. “라고 하시며
“이와 같이 성현대중께 공양을 올리면 선망조상과 현세의 부모님, 친족 영가들이 악도에서 벗어나 즉시 해탈하여 복락을 누릴 것이다.
부모가 생존해 있는 사람은 부모의 여생이 행복하게 되고, 부모가 이미 떠났다면 좋은 국토에 태어나서 무량한 복락을 받게 될 것이다.” 라고 하셨습니다.
우란분의 우란(盂蘭)은 도현(倒懸) 즉, ‘거꾸로 매달려 있다’는 뜻입니다.
분(盆)은‘구제한다, 여의게 한다.’는 뜻으로 재(齋)를 베풀어 지옥과 같은 악도에 떨어져 고통 받는 선망부모를 구제한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우란분절에는 재를 베풀어 온갖 영가들을 천도하는 천도재를 베풀게 되기에 우란분재(盂蘭盆齋)라고도 부르며, 우란분공(盂蘭盆供)이란 현재의 부모와 과거 일곱 생의 부모 영가(일곱 번 태어날 때마다의 모든 부모님)를 위해서 꽃, 과일, 각종 음식, 의약, 법복, 용돈을 갖추어서 여러 스님들께 공양을 올려 그 공덕으로 부모 및 조상 영가의 고통을 없애준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이와 같이 우란분절은 목련존자의 어머님에 대한 효행(孝行)의 발로로 시작됩니다.
여기에서 보듯 부처님이 가르치시는 효행이란 다만 살아계신 부모님께 잘 봉양하는 것만을 말하는 것이 아닌, 부모님을 비롯한 선망조고조비(先亡祖考祖妣)와 일체중생, 그리고 법계의 일체 고혼을 천도하여 바른 길로 이끄는 것까지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범망경’에서는“끝없는 옛적부터 금생에 이르는 동안 육도 중생이 나의 부모와 형제 아님이 없었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수 억겁을 윤회하고 또 윤회하면서 우린 수없이 많은 이들과 숱한 인연을 지어 왔습니다.
한 겁만을 보더라도 수 억 만 명 이상과 부모 형제, 그리고 자식의 인연을 맺어 왔을 터이거늘, 억겁을 윤회하며 만난 인연이란 어떠하겠습니까.
지금에 나와 만나는 모든 사람들, 나와 부딪치고 싸우는 사람들 하다못해 짐승들에서 파리 한 마리, 결코 하찮다고 할 수 없지만 인간들이 하찮게 보는 미물까지 모두가 어느 전생에 나의 부모, 자식, 형제지간이었다고 부처님은 말씀하십니다.
그러니 일체 중생이 그대로 나의 부모요 형제인 것입니다.
‘효심(孝心)이 바로 불심(佛心)’이란 말은 부처님의 효심은 내 부모 형제뿐만 아니라 일체 중생을 부모님 봉양하듯 받들어 모시는 보살심(菩薩心)이기 때문입니다.
우란분절은 대자대비의 효심을 실천행으로 옮기는 날입니다.
작게는 부모님과 선망 조상님들의 극락왕생과 해탈을 발원하고, 크게는 일체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대 서원을 실천하는 날인 것입니다.
그래서 백중, 우란분절을 불교 4대 명절 중 하나로 이 날을 꼽는 것입니다. 나무아미타불!
=====================
위 글은 주지스님께서 영평법보 307호에 개제하신 법문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